이번 글에서는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에 함유된 주름개선 성분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 의약품 성분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본다.
1. 레티놀 / 레티닐 팔미테이트 /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마이드
레티놀은 비타민A의 유도체로 앞서 주름개선 치료 의약품 성분에서 소개한 트레티노인과 그 구조와 기능이 매우 유사하다. 트레티노인에 비해 효과는 덜하지만 그만큼 자극이 덜해 화장품 성분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불안정한 형태로 빛이나 열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비활성상태로 분해되므로 고도의 제형 안정화 기술이 필요하다.
레티닐 팔미테이트는 레티놀에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결합된 형태로 레티놀에 비해 안전성과 안정성이 높은만큼 효과는 낮아 레티놀보다 많은 양이 배합되어야한다. (레티놀 고시함량의 4배)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마이드는 레티놀과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이 결합된 형태로 이 셋 중 가장 높은 침투율과 안정성을 보인다.
위의 세가지 성분은 트레티노인과 마찬가지로 각화를 정상화하고 상피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주름개선 성분으로 사용된다. 또한 트레티노인에 비해서는 낮은 확률이지만 과하게 사용할 경우 피부에 따라 자극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감광작용으로 피부에 광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다. 비타민A 유도체로 임산부는 사용을 자제해야한다.
2.아데노신
레티놀의 감광성과 안정성 문제로 새로운 주름개선성분으로 각광 받은 아데노신 성분은 모든 생물체에 존재하는 물질로 세포의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특히 피부의 진피층에는 피부의 탄력을 관장하는 콜라겐,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섬유와 히알루론산과 같은 기질을 만드는 섬유아세포가 있는데 아데노신은 이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여 주름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두번에 걸쳐 주름 치료 의약품과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성분들에 대해 알아보았다.트레티노인과 레티놀 및 그 유도체들은 그 구조와 기능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화장품 원료들(레티놀과 유도체)이 의약품 원료(트레티노인)에 비해 효과가 경미하지만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과는 완전히 다른 기전을 가지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아데노신이라는 성분도 있었다.
그러나 아데노신 또한 화장품의 성분이기 때문에 효과가 경미하여 아데노신이 함유된 주름개선 화장품만으로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다음 글에서는 효능과 안전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는 주름 치료 의약품과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의 효과적인 병행 사용요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칼럼과 관련해 궁금한 사항은 메일(yskim@k-belle.co.kr)로 문의하면 된다.